한우이야기

우리 민족과 함께한 한우의 역사와 한우의 우수성에 대해 알아보세요!

한우 이야기 오랫동안 함께한 우리 한우의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민족과 함께한 역사의 한우 이미지
한우의 역사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민족과 함께한
4000년 역사의 한우

우리나라에서 소를 키운 역사는 4,000여 년 전부터로 추정되며, 김해 패총에서는 2,000여 년 전의 소뼈가 발굴되기도 했습니다.

고대부터 소는 제천의식의 제물로 신성한 존재이며, 농경 시대 동반자로서 ‘생구(生口)’라 하여 가족의 일원으로 간주했습니다.

한우는 단순히 농사용으로만 이용된 것이 아니라 생활 곳곳에 다양하게 활용됐습니다, 소의 부산물은 의복이나 약재, 장식용 등으로 활용됐으며 또 국가외교 선물이나 하사품, 군사용으로 이용됐습니다.

한우의 종류 이미지
한우의 종류

한우(韓牛)는 사육하는 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고유한 재래종
일소를 말합니다

고구려 안악3호 고분벽화나 조선왕조실록 같은 문헌에서는 한우의 모습이 적갈색, 흑갈색, 흑색, 줄무늬 등 다양한 색이 있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세종실록에는 ‘왕의 생일, 정월 초하루 등에 제주 흑우가 진상됐다’ 라는 기록이 있으며, 동요에 나오는 ‘얼룩 송아지’와 정지용의 시 ‘향수’와 이중섭의 ‘황소’는 모두 칡소가 모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칡소는 고구려 안악3호 고분에 그려진 3종의 소 중 하나입니다.

한우의 과거와 현재

아픔은 극복하고 도체등급제도 실시로 품질 고급화는 물론 한우 품종 복원까지!

한우는 일제 강점기를 겪으며 다양성이 말살되고 일본, 중국, 러시아 등으로 반출되는 등 시련을 겪었습니다.

일본은 수탈을 목적으로 ‘황갈색만 한우로 인정한다’라는 심사표준규정을 만들어 한우의 다양성을 말살하고, 가격을 조정하는 등의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이 규정은 광복 후까지 영향을 미쳐 1969년 한우 개량사업을 추진할 때에도 황갈색 털을 가진 소로 대상을 한정되기도 했습니다.

한우는 1999년 도체등급제도를 전면적으로 실시하면서 1등급 이상 출현율도 매년 증가해 현재는 63.1%일 정도로 품질이 고급화됐습니다. 또한, 지자체와 공동으로 고유의 한우 품종인 칡소와 흑우를 복원하는 노력도 진행 중이며 칡소 복원은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현재 강원도에서는 증식, 농촌진흥청에서는 과학적 증명 및 육종으로 업무를 분담해 추진하고 있습니다.